2일차 : 스위치

파일 업로드시 변경해야되는 chmod 번호
study 디렉토리  755
study 파일  644

스위치가 여러 종류가 있는데 각 기능을 하는 스위치에 알아보기
스위치는 3대 이상의 컴퓨터를 연결할 때 사용하는 네트워크 장치

c3745 - 스위치

0/0은 죽어있는 포트이므로 연결하면 안 됨 1/1부터 연결해주기

일반 스위치는 바로 전원이 들어온다
Port
vlan
type
QinQ EtherType 종류가 있음

통신하는데에 아이피와 서브넷 두가지만 넣어도 작동되어짐

외부랑 연결할 때는 네가지 모두 작성함

인터넷이 연결된 상태에서 통신이 불가능하게 만들기 (v의 뜻은 가짜를 의미함)
vlan을 변경 1>2 형식으로  변경된 랜선끼리는 서로 통신이 불가하고 나머지 랜선끼리는 통신이 가능하다

서브넷팅 하기 
0 : 0000 0000 
128 ; 1000 0000 
192 : 1100 0000

스위치는 vlan 기능이 있다. > 컴퓨터를 연결해주는 장치 기본적으로 1로 되어있음 변경할 경우 연결 불가

/24 는 255.255.255.0을 의미

두개의 네트워크로 나누기
192.168.0.6 255.255.255.0 > 192.168.0.129 255.255.255.128

대역대 4구역으로 쪼개기 : 게이트웨이 255개를 4개로 나눠주기

대역을 나누는 법 : 0~255 개를 주어진 대역으로 나누어주기(ex, 4구역으로 나눌 경우 255를 4로 나누어주기)

스위치는 아이피를 기억하는장치? 맥 주소를 기억하는 장치? > 맥 주소를 기억한당

스위치 안에서 show mac-address-table로 접속기록 확인 가능

맥 주소는 8비트 6개로 48비트로 구성되어 있으며 일정한 시간이 지나면 삭제 된다(약 300초 정도)
일반적으로 5분 간격으로 ping을 해주어야 맥 주소가 생성되어진다.

arp는 ping으로 보낸 맥 주소를 확인할 수 있다.
제일 먼저 작동하는 장치

브로드캐스트는 arp와 동시에 보내진다. arp가 먼저 전송되어짐
브로드 캐스트는 스위치를 통해 전체로 보내서 원하는 곳에 기록을 남기는 것 필요없는 곳은 취소되어 전송되지 않음
 주소변화 프로토콜 : arp(Address Resolution Protocol)
 인터넷 컨트롤 메세지 프로토콜 : ICMP

request가 먼저 전송되어짐

2025 산대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