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일차
1. IP 넣기
IP : 192.168.0.213
서브넷마스크 : 255.255.255.0
게이트웨이 : 192.168.0.1
도메인 : 192.168.0.99 168.126.63.1
2. 공유폴더 연결
네트워크 드라이브 연결 -> \\192.168.0.94\backup
master / 123456
3. Editplus 설치, 노트 쓰기
도구 -> 기본설정 -> 파일 -> 기본 인코딩 UTF-8로 바꾸기, 레이아웃 탭바 아래
4. ftp 연결 192.168.0.92 / sjh16 / 123456 / /home/sjh16/public_html
5. xshell 설치
6. python 설치
체크표시 두개 다 한 후 설치하기
Hacker --------> Target(virtual.izerone.co.kr)
attack
nslookup 타겟의 도메인 을 치면 아이피가 나온다
192.168.0.99(DNS) 가 타겟의 아이피를 알려준다.
nmap 깔기 (스캔)
nmap에서 target에 아까 얻은 IP를 넣고 스캔한다.
스캔하면 열려있는 포트를 알려준다. (21, 80 ...이 열려있다.)
port의 범위 : 0 ~ 65535 (총 65536개)
서버에서 많이 쓰는 포트 번호
21, 22, 23, 25, 53, 80, 110, 143, 443, 445, 3306, 5900 ...
21(FTP서비스) : 파일을 전송하는 서비스(시스템에 저장되어 있는 아이디와 비밀번호 필요)
IP + Port(0~65535)
사전을 이용해서 공격하는 해킹 프로그램 만들기
d: -> cd 2025_py
공격코드 짜기
id와 비밀번호 찾기
사전을 만들어서 조합한다. (파일 입출력 활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