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대특 5기

4일차 250626

방화벽(UTM): 설치형 보안장비 리눅스에서 작동한다, 유닉스 베이스 최대 30일이 지나면 라이선스가 지나서 새로 깔아함 실제 장비에 망포트 4개 접속하면 웹으로 들어가서 설정 -> https://192.168.56.100:444/ 안들어가지면 cmd에서 ping 192.168.56.100 -n 1000 0번 관리자망(host전용 어댑터) cmd에서 ipconfig 이더넷 어댑터 이더넷 2: 연결별 DNS 접미사. . . . : 링크-로컬 IPv6 주소 . . . . : fe80::ff9e:ab05:5684:a00%13 IPv4 주소 . . . . . . . . . : 192.168.56.1 서브넷 마스크 . . . . . . . : 255.255.255.0 기본 게이트웨이 . . . . . . : IPv4 주소는 virtualbox와 연결해주는 다리 ip 대역대 : 56 따라서 설치때 ip를 192.168.56.100으로 설정해줘야함 -> 실제 기기는 192.168.2.100으로해도 괜찮음 실제 장비에 방화벽을 설치하기 위해선 usb를 만들어야함 설치를 다 하면 https://rufus.ie/ko/ 에 들어가서 usb를 구워야함 UTM9을 추가할때 네트워크를 4로 늘려서 추가하기 UTM9을 추가해서 R1에 0번이 아닌 1번으로 연결 -> 0번은 아까 호스트 전용으로 설정했기 때문에 초기에 설정은 호스트 전용으로 했는데 GNS에 추가를 하면 자동으로 일반용으로 바뀌니까 항상 UTM을 먼저 켜야함 포트를 4개나 사용하는 이유 : 망을 분리하기 위해서 여기까지 다 하면 이더넷이 0번에 연결된것을 볼 수 있음 125.246.95.0/24 는 학원 ip 내 hp는 서버에 들어있음 나머지 ip는 사설 ip로 설정 인터페이스 설정 : UTM과 eth2로 연결된 PC1이기 때문에 Inside로 설정 보드로 돌아와서 활성화 후 GNS의 PC1 start 에서 DHCP 아직 실행이 안됨 SOPHOS로 돌아가서 DHCP 설정을 inside로 넣어주고 다시 dhcp를 하면 돌아감 PC1> ping 192.168.0.254 84 bytes from 192.168.0.254 icmp_seq=1 ttl=64 time=0.824 ms 84 bytes from 192.168.0.254 icmp_seq=2 ttl=64 time=1.337 ms 84 bytes from 192.168.0.254 icmp_seq=3 ttl=64 time=1.366 ms 84 bytes from 192.168.0.254 icmp_seq=4 ttl=64 time=1.911 ms 84 bytes from 192.168.0.254 icmp_seq=5 ttl=64 time=1.314 ms 네트워크 연결이 끝까지 잘 되는 것을 알 수 있음 => PC1의 방화벽과 dhcp 설정이 끝남 eth3 인터페이스 설정하기 virtual의 cmd에서 ping 192.168.1.254를 하면 연결이 안됨 eth3의 인터페이스를 설정하고 다시 ping 192.168.1.254 게이트웨이까지는 연결이 됨 하지만 192.168.0.1은 연결이 안됨 -> 방화벽으로 막혀있어서 방화벽은 따로 설정을 하지 않아도 원래부터 부정적인 성격이기 때문에 안들어가짐 inside -> server 가능 server -> inside는 안됨 === 192.168.0.155가 서버 진입경로 100번은 차단되어 들어오지 못함 따라서 155에서 100으로 들어가야함 도메인으로 내 홈페이지를 들어올수 있음 (포트 : 99번) DNS가 사용하는 포트 번호 : 53
Q. DMZ에는 윈도우 서버, 윈도우 서버의 ip를 1.1로 주고 dns 정상 작동을 위해서는 무언가를 해야하는데 A. 어제 dns 설정을 한 곳에서 뭔가를 바꿔주면 작동이 가능함
=== 미션1. 칼리에서 윈도우 서버로 본인의 도메인 조회할 것! nslookup flowbysy.co.kr 조회가 안된다면 왜? UTM을 가장 먼저 켜고 호스트용으로 바꾸기 kali에서 ip를 설정 왜 DNS 번호를 192.168.1.1이 아닌 125.246.95.152로 주느냐? => 사설 ip는 라우팅 할 수 없음 따라서 kali는 1.1을 모르기 때문 UTM을 나올 때 .152/24로 바뀌어서 나온다 따라서 DNS 번호를 .152/24로 줌 후 Enable Networking을 껏다가 켠 후 라우터에서 OSPF를 설정 * R1한방설정(OSPF) config t interface FastEthernet0/0 ip address 100.100.100.254 255.255.255.0 no shutdown exit interface Serial1/0 ip address 4.4.4.1 255.255.255.192 no shutdown exit router ospf 1 network 100.100.100.0 0.0.0.255 area 0 network 4.4.4.0 0.0.0.63 area 0 router-id 1.1.1.1 exit ip dhcp excluded-address 100.100.100.1 100.100.100.254 ip dhcp pool hacker network 100.100.100.0 255.255.255.0 default-router 100.100.100.254 dns-server 125.246.95.152 lease 1 0 0 ! exit * R2한방설정(OSPF) config t interface FastEthernet0/0 ip address 125.246.95.254 255.255.255.0 no shutdown exit interface Serial1/0 ip address 4.4.4.2 255.255.255.192 no shutdown exit router ospf 1 network 125.246.95.0 0.0.0.255 area 0 network 4.4.4.0 0.0.0.63 area 0 router-id 2.2.2.2 exit 까지 라우터 설정 웹 SOPHOS를 들어가서 outside의 인터페이스와 방화벽을 설정해준다 outside의 인터페이스를 설정하는 것이기 때문에 게이트웨이도 설정해줘야함 후 kali에서 ping 125.246.95.152를 했을 때 반응을 하면 UTM까지 연결된 것 연결이 어디까지 됐는지 모르겠을 때는 가까운 곳부터 차례차례 ping으로 확인 서버와 PC1은 라우팅할 수 없고, 방화벽이 설정되어있지 않다. 방화벽은 기본적으로 차단 설정이 되기 때문에 연결할 수 없다. -> nslookup flowbysy.co.kr을 했을 때 반응이 없음 실제 장비로 방화벽 설치 실습 -> 만약 사진과 같은 오류가 생긴다면? : 설치 화면이 뜨면 Alt + F2를 눌러 consol로 들어가기 /mount /dev/sdc1 /install 을 치고 Alt + F1로 빠져나오기 -> 이때 sdX1 은 기기에 맞게 X에 넣어주기 후 기존 방법대로 방화벽 설치 시, 정상적으로 설치되는것을 볼 수 있음 이제 pc의 cmd창에서 ping 명령어 만약 설치를 할 때 192.168.2.100으로 설정을 했다면 ping 192.168.2.100을 했을 때 반응이 있으면 연결이 된 것 실습을 할때 eth0 ~ 4번의 위치를 몰랐는데 알아내려면 : ping 192.168.2.100을 했을 때 반응이 있는 위치가 eth0 이다 왜냐면 eth0은 호스트모드 방화벽 서비스 별 포트번호 Any AOL IM : 5190 Apple Remode Desktop 1 : 3283 Apple Remode Desktop 2&3 : 5900 CIFS : 445 Cirix ICA : 1494 DNS : 53 FTP : 21 Googl Talk IM : 5222 GRE H323 : 1719:1720 HTTP JetDirect : 9100 HTTP : 80 HTTP Proxy : 8080 HTTP Webcache : 3128 HTTPS : 443 ICQ IM : 5190 IMAP : 143 IMAP SSL : 993 IPP : 631 IPsec - AH IPsec - ESP IPsec - IKE : 500 IPsec - NAT-T : 4500 IRC IM : 6667:6668 iSCSI : 3260 Jabber IM : 5222 KERBEROS : 88 L2TP : 1701 LDAP : 389 LDAP-SSL : 636 LPD : 515 Microsoft Remote Desktop(RDP) : 3389 Microsoft Terminal Services(RDP) : 3389 MMS : 1755 MS SQL : 1433:1444 MYSQL : 3306 NETBIOS LS : 135 NETBIOS NS : 137 NETBIOS SSN : 139 NETBIOS-DGM : 138 NNTP : 119 NNTP SSL : 563 NTP : 123 Oracle SQL*Net V1 : 1525 Oracle SQL*Net V2 : 1521 ping pinng6 POP3 : 110 POP3 SSL : 995 PostgreSQL : 5432 PPTP : 1723 RADIUS : 1812 Real Audio : 7070 rsync : 873 RTSP : 554 SIP : 5060 SIP over SSL : 5061 SMTP : 25 SMTP SSL : 465 SNMP : 161 SNMP-Traps : 162 SOCKS : 1080 Sophos UTM Manager : 4433 Spam Release : 3840 SSH : 22 STAS Collector : 6677 SYSLOG : 514 TACACS : 49 Telnet : 23 TFTP : 69 Traceroute : 33000:34000 VNC : 5900 WebAdmin : 4444 Yahoo IM : 50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