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우터에 dhcp설정하기
[R1한방설정(OSPF)]
config t
interface FastEthernet0/0
ip address 192.168.0.254 255.255.255.0
no shutdown
exit
interface Serial1/0
ip address 3.3.3.1 255.255.255.128
no shutdown
exit
router ospf 1
network 192.168.0.0 0.0.0.255 area 0
network 3.3.3.0 0.0.0.127 area 0
router-id 1.1.1.1
exit
ip dhcp excluded-address 192.168.0.1 192.168.0.254
ip dhcp pool hacker
network 192.168.0.0 255.255.255.0
default-router 192.168.0.254
dns-server 192.168.1.1
lease 1 0 0 !
exit
[R2한방설정(OSPF)]
config t
interface FastEthernet0/0
ip address 192.168.1.254 255.255.255.0
no shutdown
exit
interface Serial1/0
ip address 3.3.3.2 255.255.255.128
no shutdown
exit
router ospf 1
network 192.168.1.0 0.0.0.255 area 0
network 3.3.3.0 0.0.0.127 area 0
router-id 2.2.2.2
exit
ip dhcp excluded-address 192.168.1.1 192.168.1.254
ip dhcp pool st
network 192.168.1.0 255.255.255.0
default-router 192.168.1.254
dns-server 192.168.1.1
lease 1 0 0 !
exit
연결됐는지 확인하기 위해 방화벽 내린다.
end dvice에는 ip, servnet mask, gateway, dns 넣어줘야되고 router에는 ip랑
survenet mask만 넣어주면 됨.
icmp = ping
dns(응용계층 = nslookup(조회)
arp = ping / arp는 라우터를 못 넘기 때문에 라우터 사이 이전에서 패킷을 보는거이다.
arp : 통신하기 전 내부노콜에 연결된 네트워크 장비의 하드우어 주소를 확인
ping -> arp -> icmp
같은 네트워크상이 아니면
arp -a
패킷 필터링하는 것 : (arp.src.hw_mac == d8:50:e6:3e:87:21 or arp.dst.hw_mac == d8:50:e6:3e:87:21) or ip.addr==192.168.0.118
tcp : 연결 지향 전송방식(이거 뜨면 연결 되는구나), 웹(web) 서비스
tcp 3-way hanshake : tcp/ip 프로토콜을 이용해서 통신할 때 데이터를 전송하기 전에 일련의 정확한 전송을 보장하기 위해 송신자와 수신자가 서로 사전에 세션을 수립하는 과정을 의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