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넷 = 동네 ex. 서브넷
gateway = 라우터의 패스티더넷 -슬레시-
라우터 : 관리자모드, 그냥 보드
DNS에 대해서 알아보자
연결이 되는 것 안 되게 한다.
tcp/ip = 암기
tcp/ip 보이게 윈도우 설치
라우터 설정
config t
interface FastEthernet0/0
ip address 192.168.0.254 255.255.255.0
no shutdown ← 가장 중요
공유기가 게이트웨이가 0.1로 들어와서 넣다보니까 0.201로 들어온 거다.
게이트웨이 바꿀 수 있다.
ip가 192.168.0.1이고 gateway가 192.18.0.254이기 때문에 pc1이나 pc2에 0.2~0.253까지 어느 것이나 써주면 됨.
근데 pc2에 0.2를 넣어줄 수 있는데 0.3을 넣을 이유가 없다.
1. 다른 동네로 ip간 연결 안되게 하기
ip 핑 잘 가던걸 못가게 하려면 ~0.2를 ~1.2로 바꿔주면 된다.
0 이랑 1은 동네 자체가 다르기 때문에 연결이 안 된다.
ip 동네랑 gateway 동네가 안 맞다.
ex. ip : 192.168.1.2, gateway : 192.168.0.254 ← 안 맞음.
2. 서브넷 마스크 이용해서 연결 안되게 하기(서브네팅)
ex.
ip : 192.168.0.2
서브넷 마스크 : 255.255.255.128
gateway : 192.168.0.254
이렇게 하면 not same subnet 뜬다.
이걸 연결되게 고치려면 ip 2를 129로 고치던가 gateway 254를 126으로 고쳐준다.
3. 스위치 VLAN
스위치에는 VLAN이 있음. 이 VLAN 번호를 바꿀 수 있음.
VLAN을 바꾸면 연결 안 됨.
컴퓨터 - 스위치 - 라우터 - 라우터 - 스위치 - 컴퓨터
라우터끼리 어디로 연결돼있나 잘 봐라.
1.1.1.0/30
R1 :
config t
interface Serial/0
ip address 1.1.1.1 255.255.255.252
no shutdown
exit
config t
interface FastEthernet0/0
ip address 192.168.0.254 255.255.255.0
no shutdown
R2 :
config t
interface Serial/0
ip address 1.1.1.2 255.255.255.252
no shutdown
exit
config t
interface FastEthernet0/0
ip address 192.168.1.254 255.255.255.0
no shutdown
패킷이 넘어가면 라우터 사이에 icmp가 보여야됨.
왜 못가냐면 지도가 없음. 그 지도가 돼주는게 라우팅테이블.
주소만 알려주면 다 감.
[R1 한방설정}
config t
interface FastEthernet0/0
ip address 192.168.0.254 255.255.255.0
no shutdown
exit
interface Serial1/0
ip address 1.1.1.1 255.255.255.252
no shutdown
exit
ip route 192.168.1.0 255.255.255.0 1.1.1.2
[R2 한방설정}
config t
interface FastEthernet0/0
ip address 192.168.1.254 255.255.255.0
no shutdown
exit
interface Serial1/0
ip address 1.1.1.2 255.255.255.252
no shutdown
exit
ip route 192.168.0.0 255.255.255.0 1.1.1.1
pc1, pc2 핑 찍어주고 wireshark에서 icmp보이면 연결 성공
이데넷에 연결해야됨. 콘솔은 설정할 때 사용하는 것.
UTP 케이블 카테고리 6란?
1. Cat 6
: 컴퓨터랑 인터넷 연결할 때 쓰는 **랜선(LAN 케이블)**이다.
그중에 성능 좋은 게 Cat 6 (카테고리 6) 케이블이다.
2. 속도
: 최대 10기가 인터넷까지 가능하다.(단, 55m까지만)
보통 100m까지는 1기가 인터넷 안정적으로 된다.
3. 장점
: 선이 더 촘촘하게 꼬여 있어서 인터넷 신호가 잘 안 깨진다.
옆 선이랑 간섭 덜 받아서 빠르고 안정적이다.
4. 어디에 사용되나
: 집에서 기가 인터넷 쓸 때
사무실에서 속도 중요할 때
NAS, CCTV, 고해상도 스트리밍 등
한줄 요약 : Cat 6는 빠르고, 안정적인 고급형 랜선이다.
#장비실습
1. 시리얼을 통해 접속한다.
2. enable
3. show ip interface brief
각자 다른 인터페이스를 확인한 후 안티페이스 수정할것
4. 라우터와 라우터에 연결된 케이블 (DTE, DCE)확인 후
DCE구간에 clock rate 54000 적용할 것
5. 랜케이블을 완성 후 PC에서 라우터에 접속되는지 확인할 것
설정 -> ip 설정 -> 편집 -> 게이트웨이 편집
동적 라우팅 RIP(인포메이션, 프로토콜)
찾다가 15개 이상이 되면 패킷을 제거한다.(who count는 15개까지 감.)
30초동안 변화가 없어도 계속 상태 알려줌.
소규모 네트워크에서는 쓸만하지만 대규모에서는 쓰기 어려움.
대규모면 계속 쓸데없는 패킷을 줄 것이기 때문.
ex. 고속도로에 쓸모없는 차들이 있는 것.
그래서 나온게 ostsf
ip route 192.168.1.0 255.25.255.0 1.1.1.2
1.0은 1.2로 들어가라
config t
router ip
version 2 ← viersion 1에 있던 문제점을 확인하고 기능을 개선해서 만든 것.
virsion 1은 서브네틱안 안 됨. 그냥 큰 덩어리로 쓰는거임. 그래서 나온게 쪼개서 쓸 수 있는 version2
network 192.168.0.0
network 2.2.2.0
show ip protocols
show ip route ip
[R1 한방설정(물리)]
config t
interface FastEthernet0/0
ip address 192.168.0.254 255.255.255.0
no shutdown
exit
interface Serial1/0
ip address 2.2.2.1 255.255.255.248
no shutdown
exit
router rip
version 2
network 192.168.0.0
network 2.2.2.0
exit
exit
[R2 한방설정(물리)]
config t
interface FastEthernet0/0
ip address 192.168.1.254 255.255.255.0
no shutdown
exit
interface Serial1/0
ip address 2.2.2.2 255.255.255.248
no shutdown
exit
router rip
version 2
network 192.168.1.0
network 2.2.2.0
exit
exit
show ip protocols
show i route
end 디바이스에 서버를 넣어줘야 다양한 작업을 할 수 있음
virtualbox의 winserver2022를 dns프로그램으로 열어줄거임.
GNS3 preferences에서 virtualbox vms -> new -> 항상 Allow GNS3 to use any configured VirtualBox adapter 체크
-> end devices에 winserver2022 떠있음.
입력->키보드설정->ALT CTRL DEL 입력 -> 비밀번호 입력
ping 192.168.
[R1 한방설정}
interface FastEthernet0/0
ip address 192.168.1.254 255.255.255.0
no shutdown
exit
interface Serial1/0
ip address 1.1.1.2 255.255.255.128
no shutdown
exit
ip route 192.168.0.0 255.255.255.0 1.1.1.1
[R2 한방설정}
config t
interface FastEthernet0/0
ip address 192.168.1.254 255.255.255.0
no shutdown
exit
interface Serial1/0
ip address 1.1.1.2 255.255.255.128
no shutdown
exit
ip route 192.168.0.0 255.255.255.0 1.1.1.1
vpcs에서 할 수 있는건 ping 때리고
서버 관리자->역할 및 기능->서버 역할->DHCP Server 설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