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기


20250525

✅ 1과목: TCP/IP
핵심 키워드와 개념:

개념 쉽게 설명하면
IP주소 인터넷에서 내 컴퓨터의 주소. ‘집 주소’ 같은 역할
서브넷 마스크 IP주소에서 네트워크/컴퓨터 부분을 나누는 기준선
TCP / UDP 인터넷에서 데이터를 보내는 방식
TCP는 느리지만 정확하게 (택배), UDP는 빠르지만 확인 안 함 (엽서)
DNS ‘www.naver.com’ 같은 글자 주소를 숫자 IP로 바꿔줌 (전화번호부 역할)
ICMP “지금 살아있니?” 물어보는 프로토콜. ping 명령어에 사용됨
ARP / RARP IP주소 ↔ MAC주소 바꿔주는 프로토콜 (주소 변환기)
IPv6 IP주소가 부족해서 만든 신형 주소 체계. 더 길고 보안 기능 내장

✅ 2과목: 네트워크 일반
자주 나오는 토픽:

항목 예시/비유
OSI 7계층 통신을 7단계로 나눈 구조. 사람이 말하는 걸 번역해서 상대에게 전달하는 단계별 과정
네트워크 토폴로지 컴퓨터들 연결 방식
예) 스타형은 허브 중심, 버스형은 한 줄로 연결
전송 방식 (ARQ, TDM 등) 오류 나면 다시 보내는 방식: Go-Back-N, Selective 등
여러 명이 시간 나눠 쓰는 방식: TDM
클라우드, SDN, NFV 실제 장비 말고 소프트웨어로 네트워크를 조절하는 최신 기술
VLAN 하나의 스위치로 여러 부서를 나누는 가상의 구역 만들기 (보안성과 관리 용이)

✅ 3과목: NOS (네트워크 운영체제)
윈도우 서버 & 리눅스 관련 기출:

항목 설명
DHCP 컴퓨터에게 자동으로 IP주소를 나눠주는 서버
DNS 이름 ↔ IP주소를 바꿔주는 서버. 도메인 해석기
리눅스 명령어 chmod, ps, netstat, crontab 등 자주 나옴
httpd.conf 설정 Apache 웹서버 설정파일. 보안 관련 옵션 자주 출제
사용자 및 그룹 관리 유저 계정 생성/권한 설정, 디렉터리 권한 변경 등

✅ 4과목: 네트워크 운용기기
스위치, 라우터, 보안장비 등 장비 위주 문제:

항목 설명
스위치(Switch) 같은 네트워크에서 컴퓨터들끼리 연결하는 장비
라우터(Router) 서로 다른 네트워크끼리 연결하는 장비
WAF / IDS / IPS 웹서버 보안 장비:
WAF는 웹 공격 방어, IDS는 침입 탐지, IPS는 차단까지
NAT 내부(사설) IP를 외부(공인) IP로 바꾸는 기술 (공유기 역할)
라우팅 프로토콜 (RIP, OSPF 등) 길 찾기 안내자 (RIP은 간단, OSPF는 똑똑함)
RAID 여러 개 하드디스크를 묶어 데이터 안전성 확보. RAID 1은 복사본, RAID 0은 빠르게 저장




✅ 1번 문제
프로토콜의 기본적인 기능 중, 송신기에서 발생된 정보의 정확한 전송을 위해 사용자 정보의 앞, 뒤 부분에 헤더와 트레일러를 부가하는 과정은?
① 캡슐화 (Encapsulation)
② 동기화 (Synchronization)
③ 다중화 (Multiplexing)
④ 주소지정 (Addressing)

✅ 정답: ① 캡슐화 (Encapsulation)
🔍 해설:
-데이터를 전송할 때는 ‘편지’처럼 봉투에 여러 정보(주소, 우표 등)를 붙입니다.

-캡슐화란?
→ 데이터를 전송할 때, **헤더(Header)**와 **트레일러(Trailer)**를 붙이는 것.
→ 마치 편지 봉투 앞뒤에 주소, 우편번호를 붙이는 것과 같아요.

-계층 구조에서의 캡슐화 예시:
-응용 계층 데이터 → 전송 계층은 포트 번호 붙임
-네트워크 계층은 IP 주소 붙임
-데이터링크 계층은 MAC 주소와 에러검사 정보 붙임

📌 핵심 요약:
-캡슐화는 전송 준비 과정
-헤더/트레일러는 “이 데이터 어디로 갈지, 오류는 없는지” 알려주는 정보



✅ 2번 문제
서브넷 마스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IP Address 체계에서 Network ID와 Host ID로 구분한다.
② 목적지 호스트가 동일한 네트워크상에 있는지 확인한다.
③ Class A는 기본 서브넷 마스크로 '254.0.0.0'을 이용한다.
④ 서브넷 마스크의 Network ID 필드는 이진수 '1'로, Host ID의 필드는 이진수 '0'으로 채운다.

✅ 정답: ③ Class A는 기본 서브넷 마스크로 '254.0.0.0'을 이용한다.
🔍 해설:
📌 서브넷 마스크란?
-IP 주소를 '네트워크 부분'과 '호스트 부분'으로 나누는 기준선입니다.
-예: 255.0.0.0은 앞의 8비트만 네트워크, 나머지 24비트는 호스트

-각 클래스의 기본 서브넷 마스크:
클래스 IP 대역 기본 서브넷 마스크
Class A / 1.0.0.0 ~ 126.255.255.255 / 255.0.0.0
Class B / 128.0.0.0 ~ 191.255.255.255 / 255.255.0.0
Class C / 192.0.0.0 ~ 223.255.255.255 / 255.255.255.0

따라서, 보기 ③은 틀린 설명입니다.
'254.0.0.0'은 기본 서브넷 마스크가 아닙니다.

✨ 다른 보기 정리
① O: IP 주소는 네트워크 ID와 호스트 ID로 나뉘어요.
② O: 서브넷 마스크로 같은 네트워크인지 판단 가능
④ O: 서브넷 마스크는 이진수 기준으로 네트워크=1, 호스트=0로 표현됨

-255는 이진수로 11111111 (→ 네트워크)
-0은 00000000 (→ 호스트)
-즉, 서브넷 마스크는 ‘어디까지가 네트워크인지 표시’하는 마스크



✅ 3번 문제
IGMP(Internet Group Management Protocol)의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TTL(Time to Live)이 제공된다.
② 유니캐스트 통신을 위한 프로토콜로 적합하다.
③ IGMPv1에서는 첫 보고 메시지 손실 시 재전송되지 않는다.
④ 호스트와 라우터 간의 비대칭 통신 구조를 가진다.

✅ 정답: ② 유니캐스트 통신을 위한 프로토콜로 적합하다
🔍 해설:
📌 IGMP란?
-멀티캐스트 그룹 관리 프로토콜
-“같은 방송을 듣는 여러 컴퓨터들”을 관리하는 역할
-예: 인터넷으로 방송 송출 시 여러 사용자에게 동시에 전송할 때 사용

각 보기 해설
① O: IGMP는 TTL을 통해 전송 범위를 제한해요. 너무 멀리 안 가도록.
② ❌: IGMP는 멀티캐스트용이지, 유니캐스트(1:1 통신)와는 무관해요.
③ O: IGMPv1은 보고 메시지를 한 번만 보내고 재전송 안 해요.
④ O: 호스트가 멀티캐스트 가입 요청 → 라우터가 멀티캐스트 전달 결정 (비대칭 구조)

💡 한눈에 정리:
용어 설명
유니캐스트 / 1:1 전송 (예: 파일 다운로드)
멀티캐스트 / 1:N 전송 (예: 실시간 방송)
브로드캐스트 / 1:전체 전송 (예: ARP)
IGMP / 멀티캐스트 가입·탈퇴 관리

🔍 보기 ④ 해설:
"호스트와 라우터 간의 비대칭 통신 구조를 가진다"
→ 맞는 설명입니다.

✅ IGMP 통신의 구조를 먼저 볼게요:
역할 설명
호스트(예: 사용자 PC) / “나 이 방송 들을래요!” 하고 멀티캐스트 그룹에 가입 요청을 함
라우터 / “누가 방송 듣고 있는지 확인하고 멀티캐스트를 전달할지 말지 결정”함

⚖️ 왜 비대칭(일방적)인가?
-호스트는 단순히 가입/탈퇴 메시지를 보냄
-라우터는 멀티캐스트 데이터를 받는 그룹이 있는지 주기적으로 확인하고, 전달 유무를 결정함
-즉, 호스트는 요청만 하고, 라우터가 판단하고 처리함
📌 둘이 “대등하게 쌍방 교신”하는 게 아니라,
→ 한쪽이 요청하고, 다른 쪽이 판단·전송하는 구조니까 비대칭 구조인 거예요.

🧠 쉽게 비유하면:
너튜브 라이브 방송 시청자(호스트)들은 “보여주세요!” 하고 신청만 함 →
방송국(라우터)이 시청자가 있으면 방송 보내고, 없으면 끔.
→ 시청자는 단순한 ‘수신 의사’만 표함.
→ 방송 여부는 방송국(라우터)이 정하는 거죠.

🟩 결론
-보기 ④은 정답이 아니며, 옳은 설명입니다.
-IGMP는 구조적으로 비대칭 통신 프로토콜이 맞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