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atic(정적 라우팅), RIP, OSPF

다른 서브넷에있는 종단과 통신(ping)하려고 하면, 즉 다른 네트워크와 통신하려면 static, OSPF, RIP를 사용하여 다른 네트워크의 정보를 받아야한다.
- 같은 대역? = 같은 서브넷에 속해있으면 같은 대역이다.

요약

명령어
conf t
int fa0/0 그리고 int s2/0 //int range fa0/1, s2/0는 안됨.오로지 fastethernet만 range 가능
no sh
ip addr [GW] [Subnet Mask]
ip route [Destiny IP 대역 (x.x.x.0)] [Destiny IP subnetmask] [Next Hop]
혹은 router rip
version 2
no auto-summary
network [라우터에 연결된 ip 대역]

//next hop : router와 인접한 노드/ 목적지 ip로 이동할 때 거쳐가야할 경로
//next hop - 내 인터페이스 : lookup을 하지 않아도 되지만(예 : fa0/0), 실무에선 사용x.
      └ ip를 사용하게 되면 2번 look up 하게 되어 좋지 않음.

[R1한방설정] config t interface FastEthernet0/0 ip address 192.168.0.254 255.255.255.0 no shutdown exit interface Serial1/0 ip address 1.1.1.1 255.255.255.252 no shutdown exit ip route 192.168.1.0 255.255.255.0 1.1.1.2 [R2한방설정] config t interface FastEthernet0/0 ip address 192.168.1.254 255.255.255.0 no shutdown exit interface Serial1/0 ip address 1.1.1.2 255.255.255.252 no shutdown exit ip route 192.168.0.0 255.255.255.0 1.1.1.1

장비 실습

- 각자 다른 인터페이스를 확인 후 인터페이스를 수정할 것
- 라우터와 라우터에 연결된 케이블(DTE,DCE) 확인 후 DCE 구간에 clock rate 64000 적용할 것
- 랜 케이블을 완성 후 PC에서 라우터에 접속되는지 확인할 것
------------------------------------------------------------
DTE(Data Terminal Equipment) :
데이터 사용 장비. 사용자와 네트워크로 구분했을 때 사용자측에서 데이터 송신이나 수신의 용도로 사용되는 장비
대표장비 : PC, 라우터 등
DCE(Data Communications Equipment) :
데이터 통신장비. 네트워크측으로 구성되는 통신 네트워크 장비의 연결 수단. 사용자와 네트워크로 구분했을때 네트워크측으로의 연결 역할을 담당하는 연결 통로를 제공해줍니다.
대표장비 : 모뎀(DSU/CSU)

clock rate 설정 이유 : 라우터에 설정하는 이유는 back-to-back(Router-Router) 구성 시 clock 를 잡아주는 csu/dsu 가 없기 때문에 라우터 장비에서 dce 쪽에서 clock rate 값을 지정 해줍니다.
clock rate를 지정해주는 이유는 시리얼 인터페이스가 통신 시 어느 한쪽에서 통신 규격 속도를 지정해주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DCE 쪽에서 clock를 잡아주면 DCE 인터페이스는 DTE 인터페이스로 '이 속도로 통신할테니 너도 이 속도에 맞춰라' 라고 알려줍니다.
이런 용도로 clock 값을 지정해줍니다

시리얼 정보 확인 명령어 : do show controllers serial0/0
장비 실습 명령어
en
conf t
int fa0/0 그리고 int s1/0 //int range fa0/1, s2/0는 안됨.오로지 fastethernet만 range 가능
no sh
ip addr 192.168.0.254 255.255.255.0//게이트웨이 설정
int s1/0에선
ip addr 1.1.1.1 255.255.255.0//라우터끼리의 통신 ip
ip route 192.168.1.0 255.255.255.0 1.1.1.2

동적 라우팅 RIP :
거리벡터 프로토콜
홉수 제한
주기적인 라우팅 정보 교환(30초마다)
RIPv1, 2
장점 - 설정간단함, 작은 네트워크에서 동작
단점 - 경로업데이트가 느림, 30초마다 전체 라우팅 테이블을 교환하므로 대규모에 비효율적
홉 수 제한, 확장성 부족


// 자료
UTP 케이블 종류 : https://togll.tistory.com/47
ip 대역 : https://xn--3e0bx5euxnjje69i70af08bea817g.xn--3e0b707e/jsp/statboard/IPAS/ovrse/natal/IPaddrBandCurrent.jsp?nationCode1=KR

실습 중 딴짓 - 첫번째 실습 :

R2 추가(PC2의 GW 추가...)
PC1> ip 192.168.0.253/30 192.168.0.254
PC1 : 192.168.0.253 255.255.255.252 gateway 192.168.0.254
PC2> ip 192.168.0.249/30 192.168.0.250
PC2> ping 192.168.254
Redirect Network, gateway 192.168.0.250 -> 192.168.0.254 //이건 뭐지
host (192.168.0.254) not reachable

원인 : 라우터에서 게이트웨이 -> 호스트로의 네트워크 경로가 도달할 수 없다는 오류.
일반적으로 라우팅 테이블 문제나 네트워크 연결 문제로 인해 발생.
(라우터와 라우팅 테이블에 목적지 호스트에 대한 경로 정보가 없거나, 게이트 웨이와 호스트 사이의 네트워크 연결에 문제가 있을 때 발생.
- 문제 해결 방법 -
1, 라우팅 테이블 확인 : route -n, sh ip route 명령어로 라우팅 테이블 확인(GW가 올바른가?)
2, 네트워크 연결 확인 : 게이트웨이와 호스트 사이의 물리적 연결, IP, subnetmask, default GW가 올바른지 확인(ping 명령어로 연결 확인)
3, ICMP 리디렉션 메세지 : 라우터가 ICMP 리디렉션 메세지를 보내는 경우, 해당 메세지를 분석하여 문제 해결에 도움이 되는 정보 얻을 수 있음
4, 방화벽 설정 확인 : GW와 호스트 사이의 통신 차단 여부 확인
5, 네트워크 서비스 확인 : 게이트웨이와 호스트에서 실행 중인 네트워크 서비스(DNS, DHCP)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확인.


serial, fastethernet, gigabit ethernet 차이는 뭘까
속도 차이, fa와 gi는 이름만 다르지 거의 동일함.

윈도우 서버

윈도우 암호 : p@ssw0rd!@123
이더넷 속성 -> internet Protocol Version 4(TCP/IPv4) 속성 들어가서 아래처럼 수정
IP 주소 :192.168.1.1
서브넷 마스크 : 255.255.255.0
기본 게이트웨이 : 192.168.1.254
기본 설정 DNS 서버 : 192.168.1.1
● 윈도우 포트 보는 방법 :
  netstat -and | findstr apache2 //여기서 | findstr [찾고싶은 서비스] 로 찾을 수 있다.
  포트는 0~65555까지 65,555개가 쓰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