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1219

프로젝트 003

ESW(EhterSwitch router) 스위치(C3745)를 가져온다.

일반 스위치는 pc와 연결이 되자마자 켜지는데(초록불), ESW는 pc와 연결 후 직접 켜주어야 한다.
(물리적인 스위치의 전원 스위치 유무 여부에 따라 다름)

세 개의 pc가 연결이 잘 되는 상태에서 연결이 되지 않게끔 한다.

물리적으로 케이블을 끊는 방법도 존재한다. 하지만 케이블은 유지한 상태에서 연결이 끊어지도록 해보자.

1. VLAN 변경

VLAN이 모두 기본적으로 1번으로 세팅되어있다.
하지만 pc의 VLAN을 다른 번호로 변경하면 네트워크가 끊어진다.

pc 1 > ip 192.168.0.1 255.255.255.0
pc 2 > ip 192.168.0.2 255.255.255.0
pc 3 > ip 192.168.0.3 255.255.255.0

pc 3의 vlan을 2번으로 변경한 후 pc 1에서 pc 3으로 ping을 보내면 연결이 끊어진걸 확인할 수 있다.

2. 서브넷팅

기본적으로 사용하는 /24 (255.255.255.0)을 다른 번호로 바꿔서 (/25, /26 등) ip를 다르게 할당하면 연결이 끊어진다.

pc 4 > ip 192.168.0.4 255.255.255.0
pc 5 > ip 192.168.0.5 255.255.255.0
pc 6 > ip 192.168.0.6 255.255.255.0
인 상태에서 서브넷팅 값을 이용하여 pc 6번 연결이 끊기게 한다.

pc 6 > ip 192.168.0.129 255.255.255.128
로 변경하면 pc 4에서 pc 6으로 ping이 보내지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서브넷팅값을 /25로 변경하면 ip 대역대가 2개(0~127 / 128 ~ 255)로 나누어 진다.
서브넷만 바꾸고 ip를 변경하지 않으면 (192.168.0.6으로 놔두면) 서브넷 값이 변경되어도 같은 대역대에 존재하기 때문에 여전히 연결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ip도 192.168.0.129(~254)로 변경해주어야 다른 대역대에 존재하기 때문에 연결이 끊긴다.

---

프로젝트 004
하나의 스위치에 pc 4대를 연결하고 서브넷팅을 이용하여 pc 4대의 네트워크 대역을 각각 나누어라.

서브넷을 255.255.255.192로 놓고 대역대를 계산하여 각각 ip와 서브넷과 게이트웨이를 설정한다.

하지만, 여기서 발생하는 문제점은 이렇게 설정하면 게이트웨이가 4개가 나온다는 것이다. 즉, 출구가 4개나 생겨버린 것이다.
그러므로 라우터를 이용하여 설정해주어야한다.

---

프로젝트 003

스위치의 특징
1. VLAN 존재
2. 스위치는 ip주소가 아닌 MAC주소를 기억한다.

pc 4, 5, 6에 다시 ip를 설정하고
pc 4 > ip 192.168.0.4 255.255.255.0
pc 5 > ip 192.168.0.5 255.255.255.0
pc 6 > ip 192.168.0.6 255.255.255.0

pc 4에서 show ip 명령어로 MAC주소를 확인한다.
MAC : 00:50:79:66:68:00 (48비트)

스위치에서 pc의 MAC주소를 확인하기 위해 show mac-address-table 명령어를 이용한다.
pc 4에서 pc 6으로 ping을 보낸 후 스위치에서 확인해보면 pc 4와 pc 6의 MAC주소를 확인할 수 있다.


---

스위치-pc5번 연결 케이블과 스위치-pc6번 연결 케이블에서 start capture를 해서 어떤 데이터들이 주고받아지는지 모니터링한다.
pc 4번에서 6번에 ping을 보냈을 때 ARP가 먼저 반응을 하고 그 다음 ICMP가 반응을 하는 것을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