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세번째 수업
네트워크는 연결이다 !
tmi) 학원 13일차
오늘은 100번 서버가 어떻게 운영되는지 확인할 것이다.
100번은 교수님께서 관리하시는데, 추후 본인이 직접 접속 후 관리할 예정임.
우선 본인 서버에 접속했다. (192.168.0.220 - master)
이제 세팅할 건데 100번 서버가 어떻게 운영되는지 확인할 것이다.
100번은 웹 서버가 돌아간다. (http://[도메인] => 웹 브라우저로 본인 사이트에 반응하도록 해주는 것.)
웹 브라우저에 도메인 말고 본인 IP 쳐본다. 192.168.0.220 => 아직 접속 안되는 것이 정상이다.
그 이유는 1. 설치가 안됐거나 2. 포트가 안 열렸거나 (저번시간에 포트는 열어줬기에 웹 서버를 설치해준다.)
[root@IP220 master]# netstat -ant | grep 80
command not found로 뜸, 따라서 깔아줘야함.
[root@IP220 master]# dnf -y install net-tools
[root@IP220 master]# dnf -y install httpd
[root@IP220 master]# systemctl enable httpd
아직 안 보이는 이유는 설치만 했고 시작을 안 했다.
=> [root@IP220 master]# systemctl start httpd (반대는 stop)
그래도 안 뜨면 방화벽 때문일 수도 있다. 따라서 방화벽 포트를 열어준다.
=> [root@IP220 master]# firewall-cmd --add-service=http
=> [root@IP220 master]# firewall-cmd --runtime-to-permanent
- 요약 -
웹 서버를 설치해주고, 포트를 열어주고, 시작해주고, 방화벽 포트를 열어줘야한다.
network > 80 > 서버 > 웹서버 80 > firewall (80)
http://192.168.0.220
You can add content to the directory 설정 파일로 가서 추가할 수 있다고 돼있다. 따라서
=> [root@IP220 master]# cd /var/www/html/
=> [root@IP220 master]# touch index.html
(html과 php가 둘 다 존재하면 html이 우선순위가 더 높기에 html의 내용이 뜬다. 따라서 현재 작성자의 현 상황은 백지가 뜨는 것이 정상이다.)
잠깐 웹 멈출 거임. 개발이 아직 다 안 끝났기 때문에. (개발할 땐 멈춰야함.)
본인 거 서버에다가 FTP 연결하기 => 아직 FTP 설치 안했기에 안 뜨는 게 정상임.
network > 21 > 서버 > FTP 21 > firewall (21)
서버에 네트워크에 21번 열려있는지 확인 -> 열려있음. (안 열려있으면 절대 접속 안됨. 따라서 서버 문제임.)
=> [root@IP220 master]# netstat -ant
[root@IP220 master]# dnf -y install vsftpd
[root@IP220 master]# systemctl start vsftpd
다시 확인 => 아직 안되는 이유는 역시 방화벽 때문임. 따라서 위의 방법대로
=> [root@IP220 master]# firewall-cmd --add-service=ftp
=> [root@IP220 master]# firewall-cmd --runtime-to-permanent
ㅜㅜ step1 복원함. 업데이트 완료 상태에서 다시 세팅할 거임.
우선 본인 서버에 접속. 접속 후 80번 포트가 열려있는지 확인해준다.
netstat -ant | grep 80
찾을 수 없다는 응답이 오면 설치해준다.
dnf -y install net-tools
아직 안 뜨는 게 당연하다. 따라서
dnf -y install httpd
그 이후 다시 위의 netstat 명령어를 쳐주면 확인 될 것이다.
하지만 아직 웹페이지에서 안 보이는 이유는 설치는 해줬지만, 시작을 안 해줬다. 따라서
=> systemctl enable httpd (httpd 서비스 부팅 시 자동으로 시작되도록 설정해주는 명령어)
=> systemctl start httpd (httpd 서비스를 "지금 즉시" 실행하도록 해주는 명령어)
근데도 안 뜬다? 방화벽에서 막히는 것임.
방화벽을 내리는 방법 혹은 포트를 열어주는 방법이 있는데 내리기엔 부담스러우니까 포트를 열어준다.
firewall-cmd --add-service=http (HTTP 포트 : 80 서비스를 일시적으로 허용하는 명령어. success라고 응답하는지 확인)
firewall-cmd --runtime-to-permanent (현재 적용된 방화벽 설정을 영구 설정으로 복사하는 명령어. 마찬 가지로 success 확인)
그 상태로 192.168.0.220 포트로 접속하면 HTTP Server Test Page가 뜰 것이다.
중요 내용은 You can add content to the directory /var/www/html/ (웹사이트에 보여줄 파일을 /var/www/html 디렉터리에 넣어라.) 따라서 해당 디렉터리로 가준다.
=> cd /var/www/html
=> touch index.html (현재 디렉터리에 index.html 생성해주는 명령어.)
해당 명령어까지 완료하면 백지가 뜰 것이다. 이 상태에서 개발을 다 안 끝냈기때문에, 웹을 멈춰준다.
이후, 서버에 21번 포트가 열려있는지 확인해준다. (안 열려있다면 절대 접속이 안된다. 따라서 서버가 문제일 것이다.)
netstat -ant | grep 21
뜨지 않는 것을 확인.
dnf -y install vsftpd
시작해준다.
systemctl start vsftpd
위의 netstat 명령어로 다시 확인해준다.
21번이 보임.
그럼 80 포트에서 해준 것처럼
firewall-cmd --add-service=ftp
firewall-cmd --runtime-to-permanent
하면 끝 ~~~!!
그 이후 노트 경로를 옮기기 위해 92번 서버로 접속해줌. (192.168.0.92)
master 접속
=> ls (현재 디렉터리에 있는 파일 및 폴더 목록을 확인해줌. public_html 있는지 확인 후, 접속)
=> cd public_html
=> ls
=> cd study
=> tar cvzf study.tar.gz ./ (압축한다.)
sz study.tar.gz (바탕화면에 빼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