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번째 수업
tmi) 나의 3일차 및 학원 4일차
그동안 배운 수업내용을 복습 & GNS3를 사용하여 실습했음.
pc + pc 연결하려면 연결선(케이블) = LAN선
아래는 실습내용이다.
192.168.0.220(본인컴) 192.168.0.219(짝컴)
255.255.255.0 255.255.255.0
192.168.0.220/24 192.168.0.219/24
가상 pc에 IP, 서브넷마스크, 게이트웨이, 도메인을 삽입해줘야하는데 pc와 pc를 연결할 경우엔 꼭 전부 다 넣을 필요가 없다.
pc1 tools에 접속한 뒤 (?)로 사용 가능 명령을 파악한 후 ip를 넣기 위해 필요한 ip (?)를 사용해 ip 192.168.0.220 삽입, 동일 방식으로 pc2에 짝 ip를 삽입해줌.
만일 공격대상 : virtual.izerone.co.kr라면 무슨 명령어를 써야할까?
=> ping/ nslookup
pc1, pc2의 네트워크 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해 wireshark를 이용해 캡쳐한다.
pc1 => pc2에 ping
ping 명령 사용 시 -> icmp가 작동을 함.
(icmp보다 먼저 작동을 하는 것이 ARP)
처음 ping 사용 때만 ARP가 작동.
(두번째부턴 정보를 기억하고 있기에 작동을 안함. 시간이 지나면 데이터가 사라지기 때문에 작동을 함.)
공격이 들어왔을 때 확인해야하는 것
- Arrival Time
- UTC Arrival Time
pc1, pc2, pc3을 서로 그냥 연결하려고하면 연결이 안된다. 이 때 필요한 것이 허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