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일차


241219

스위치: 맥주소(48bit)를 기억하는 장치
- 스위치: 전원 장치 없음
- 이더넷스위치 라우터: 0/0 0/1 1/0 1/1 1/2... 여기서 0번은 사용불가, 전원 장치 있음, 명령어 mac-address-table -> ping한 기록으로 맥주소를 알 수 있음
- 스위치는 ip와 subnet만 있어도 네트워크 연결 가능 -> 스위치가 있다면 ip와 subnet만 알아도 컴퓨터를 연결할 수 있다
- 연결된 스위치와 컴퓨터들의 연결을 끊는 방법
1. 랜선 뽑기
2. vlan 바꾸기 -> 만약 네트워크가 되지않으면 vlan 확인
3. 서브넷팅하기: ip와 서브넷 바꾸기
- 서브넷 마스크의 규칙: 서브넷 마스크의 숫자를 이진수로 변환하였을 때 중간에 0이 나온다면 그 뒤는 전부 0이여야함
- 이진수로 바꾼 서브넷 마스크에서 1은 네트워크 갯수, 0은 컴퓨터(ip)의 개수이다

- mac 주소: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통신을 위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에 할당된 고유 식별자
- arp(Address Resolution Protocol): ip 주소를 mac주소와 매칭시키기 위한 프로토로 ping을 보냈을 때 가장 먼저 작동 (스위치에 연결된 컴퓨터 -> 스위치는 컴퓨터의 맥주소를 알고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