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일차 (20241219)
내노트 192.168.0.92/~msh/study/20241219002.php (내부망)
1. editplus 설정
파일->ftp->ftp설정
ftp서버: 192.168.0.92
username: msh
비밀번호:
디렉토리: /home/msh/public_html
1-1. access denied가 뜰 때
디렉토리 chmod 755
파일 chmod 644
저장
1-2. 한글이 깨질 때
문서->인코딩->인코딩 변환->UTF8
2. switch
switch 추가하려면
edit -> preferences -> Ios router -> this is am swi router 클릭 -> 칸에 없으면 idle finder 클릭
2-1. estw
일반 스위치와 다르게 전원을 넣어줘야 하고 콘솔이 내장되어 있으며(안을 들여다볼수가 있음)
e1/x부터 넣어줘야한다.
2-2. 실습 세팅
외부랑 연결할 때에는 pc에 4개(IP,SM,GW,DNS) 다 넣어야한다.
switch만 할때는 IP,SM만 넣어도 된다.(내부)
3. 실습 (switch 특징 이용)
케이블을 놔두고 연결이 안되게 하려면?
3-1. vlan 바꾸기
vlan 기본값 = 1
switch -> configure -> pc 192.168.0.3의 포트번호를 바꾸고 lan번호 2로 바꿔서 add
ping을 넣으면 연결안됨
(사진 일반스위치)
3-2. 서브넷팅
서브넷마스크가 255로 되어있는 ip자리들은 똑같아야 한다.(0으로 되어있는 자리는 바꿔도 되는 자리)
ex) |192.168.0 .|1 |192.168.|0.1
|255.255.255.|0 |255.255.|0.0
255.255.255.0에서 0을 8bit로 바꾸면 0000 0000
255.255.255.128에서 128을 8bit로 바꾸면 1000 0000 (오른쪽부터 2의 0승)
-->0~127까지의 A구역과 128~255까지의 B구역으로 나뉘게 되는데
이때 A구역과 B구역은 통신이 되지 않는다
-->pc를 다른 구역으로 넣어 통신이 안되게 하는것 (서브넷팅)
1) 2개의 구역으로 나누자
ip: 192.168.0.1 | 192.168.0.129
sm: 255.255.255.0 | 255.255.255.129
2) 4개의 구역으로 나누자
ip: 192.168.0.1 | 192.168.0.65 | 192.168.0.129 | 192.168.0.193
sm 255.255.255.0 | 255.255.255.64 | 255.255.255.128 | 255.255.255.129
gw: 192.168.0.62 | 192.168.0.126 | 192.168.0.190 | 192.168.0.254
--> 달라지는 4개의 gw는 스위치에서 통합할 수 있다
(사진 estw)
3-3. switch의 특징
1) vlan
estw에서 console로 들어간 다음 show vlan-switch brief -> vlan 확인 가능
2) mac 주소를 기억한다. (ip는 없음)
mac주소는 48bit 6개짜리로 구분되어 있다.(00:50:79:66:68:04)
3-4. ping을 보내고 arp를 보내면 스위치에 mac주소가 저장됨
pc4에서 pc6으로 ping
①switch에서 show ?
②show m?
③mac-address-table★
--> pc6의 맥주소를 알아내고 연결되어 있는 포트가 fastethernet1/3이라는 걸 알 수 있다
(사진 스위치 콘솔)
3-5. switch를 거친 ping
pc4에서 pc6으로 ping
①broadcast 요청(<->유니캐스트)
switch에 연결되어 있는 다른 pc들에게 내가 ping을 보낸 pc가 누구인지 전체 요청을 함
②arp(address resolution protocol)
arp로 내가 찾고 있는 pc의 mac주소를 switch로부터 얻어냄
③icmp(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
(사진 wireshark)
(선 누르고 오른쪽 마우스 start capture--> wireshark(pc6))
※정리
switch는 vlan 기능이 있고 mac주소를 기억한다.
달리지는 gw를 통합시킬 수 있다.
arp = ip에 대한 맥주소를 알려준다.
pc에서 스위치를 낀 다른 pc에 ping을 보내면 ping이 가기 전에 프로토콜 arp가 먼저 작동 그후 icmp 작동
-->arp로 맥주소를 찾아내서 맥주소를 스위치에서 얻어내면 ping이 간다
스위치 mac-address-table -> 컴퓨터들은 스위치에 연결되어있음 스위치에는 맥주소가 연결 -> 포트번호가 나옴
icmp request(type8 code0) --> reply(type0 code0)